스킵 네비게이션

이용안내

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

『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제2조(장애인의 장애 정도 등)』 및 『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시행규칙 제6조 제1항 (특별교통수단의 이용대상자 등)』이 일부 개정됨에 따라 이용대상자의 기준이 변경되어 공지합니다.

이용대상자 확인서류

이용대상에 따른 제출서류를 볼 수 있습니다.
구분 제출서류
특별교통수단 중증 보행장애인
(심한 장애)

• 복지카드 또는 장애인증명서

• 보행상 장애 표준 기준표 상

- Ο 해당자: 장애인증명서

- △ 해당자: 장애정도 심사결과 통보서 또는 보행상 장애판정을 증빙할 수 있는 공공기간 발급 서류

대중교통 이용이
어려운 사람
(必 휠체어 탑승자)

종합병원급 이상에서 발급한 진단서

- 진단서 내 휠체어 이용

- 진단서 내 대중교통 이용이 어렵다는 명시적 문구 필요

- 진단서 내 대중교통 이용 불가기간 명시(최대5년)

- 기간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진단서 발급일로부터 6개월 이용가능

성남시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031-748-1158

등록순서(이용대상자서류+신청서)

-서류접수(평일9:00~17:30) 팩스 031-5176-0650/ 문자 031-748-1158

-가입(콜센터 확인)

-심사(2~14일)

-승인통보

보행상 장애 표준 기준표 [ 보건복지부고시 제2019-117호 ]

보행상 장애표준 기준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구분 장애유형 심한 장애
신체적장애 지체장애 상지 절단
하지 절단 Ο
상지 관절
하지 관절 Ο
상지 기능
하지 기능 Ο
척추 장애 Ο
변형 장애
뇌병변장애 Ο
시각장애 Ο
청각장애 청력
평형 Ο
언어 장애
신장 장애 Ο
심장 장애
호흡기 장애
간 장애
안면 장애
장루·요루 장애
뇌전증 장애
정신적장애 지적 장애
자폐성장애
정신 장애

※ 보행상 장애 표준 기준표에 해당 ‘○’인 경우 당연히 보행상 장애를 인정하되,‘△’로 표시된 경우는 보행상 장애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한다.

※ 서비스 응대 향상 및 정확한 상담을 위해 모든 통화 내용이 녹음 되오니 이용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.

운영시간 / 운행지역 / 이용요금

  • 운영시간 : 연중무휴 24시간 [단, 심야시간대(22:00~06:00) 관내 2대, 관외 2대 운행]
  • 운행지역 : 성남관내,경기광역,서울,인천 (경유불가 및 편도운행) (1666-0420)
  • 이용요금
※이용자 + 동승자 2인 원칙.
※상기 인원 외에 최대1인 추가 탑승하는 경우(총 3배의 이용요금)
※「서울,인천 ->경기도」로 이동할 경우 서울.인천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로 문의
※경기도 특별교통수단 전면배차(광역+관내) : 2024년 11월 01일부터 전면시행(성남시)
이용요금을 볼 수 있습니다.
구분 요금
기본요금 1,500원
거리요금 100원(5km)

이용방법 (2024년 11월 01일 00시부터)

이용요금을 볼 수 있습니다.
구분 운행지역 이용목적 및 이용시간 접수방법 접수시간
즉시콜 성남,경기,서울,인천 즉시접수(탑승가능시)
이용목적 제한없음
24시간
전화,앱,홈페이지
문자
24시간
사전예약 성남관내 병원진료(탑승전 예약서류 증빙)
06:30~20:00
전화,앱,홈페이지 07시~22시
(1일전)
사전예약 경기 병원진료(탑승전 예약서류 증빙)
출퇴근(재직증명서 센터에 제출)
등하교(재학증명서 센터에 제출)
08:00~20:00
전화,앱,홈페이지 07시~22시
(1일전)
사전예약 서울,인천 이용목적 제한없음
08:00~20:00
전화,앱,홈페이지 07시~22시
(1일전)

※ 이용자 안전을 위하여 차량 내부는 CCTV(블랙박스)에 의해 녹화되오니 이용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.

※ 이용접수 현황에 따라 배차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.

예약 차량 배차 후 탑승지연 및 이용 취소시 차후 예약 제한 될 수 있음.

접수방법


사전예약 : 1일전 (예약 관련 경기도 광역이동지원시스템 홈페이지 참조)
접수는 전화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 하실 수 있습니다.
관내

성남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
전화접수 1666-0420(전화,문자)
031-857-0420(전화)
홈페이지 접수 경기광역홈페이지 접수
어플리케이션 접수(앱) 경기도 광역이동지원시스템